페이지 메뉴

2014년 8월 19일 화요일

의례의 이해 - 의례를 보는 관점들과 의례의 차원들, 캐서린 벨


의례의 이해 의례를 보는 관점들과 의례의 차원들

캐서린 벨 지음 | 류성민 옮김 | 한신대학교출판부 | 2007년 12월 10일 출간

저자소개

저자 : 캐서린 벨

▣ 저자소개
- 현재 미국 산타클라라 대학교(Santa Clara University) 종교학과 명예교수
- 맨해튼빌 대학에서 철학과 종교 전공
- 시카고 대학에서 종교학 전공(MA, Ph. D.)
- 1985년에 산타클라라 대학에 교수로 부임한 이래 줄곧 그 대학에서 불교, 일본종교, 중 국종교, 종교학방법론 등의 과목을 가르침.
- 주요 관심영역: 의례학, 종교학방법론, 아시아 종교(특히 중국종교)
- 1992년과 1994년에 미국종교학회(American Academy of Religion)에서 종교학분야 최 우수 저작상 수상
- 학술잡지 History of Religion의 편집자(2007-), Journal of Ritual Studies(1991-현재), Journal of Chinese(1997-2000), Religion(1991-2000) 등 여러 잡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

▣ 역자소개
- 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 교수(1995-현재)
- 한국종교학회 부회장, 「종교연구」 편집위원장
- 한신대 신학과 졸업, 서울대 대학원 종교학과 졸업(문학석사, 철학박사)
- 주요 관심영역: 종교학 이론과 방법론, 종교윤리학, 의례학, 북한종교 등
- 주요 저서, 번역서, 논문
“희생제의와 폭력의 종교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박사학위 논문).
󰡔종교와 인간󰡕(한신대학교출판부, 1997).
󰡔성스러움과 폭력󰡕(살림, 2003).
󰡔간디의 철학과 사상󰡕(번역서, 현대사상사, 1990).
“한국 개신교 의례에 대한 비판적 고찰”(「종교문화연구 제2호, 2000).
“종교와 도덕의 관계: 종교윤리학 방법론의 기초”(「종교연구󰡕, 24집, 2001).
“중국 종교학의 현재와 미래”(「종교연구, 제48집, 2007).
“追慕慰靈の雙曲線: 韓國の宗敎儀禮と國家儀禮を中心に”(「現代宗敎󰡕 2006).
“한국 기독교의례에 대한 역사적 고찰”(「종교연구󰡕 제16집, 1998)

목차

머리말

제Ⅰ부 이론들: 의례에 대한 해석의 역사

제1장 신화 또는 의례: 기원과 본질에 관한 물음들
초기 이론들과 이론가들
신화와 의례 학파
종교현상학
의례에 대한 정신문석학적 접근 방법
연구 사례: 아키투 축제의 해석
결론

제2장 의례와 사회: 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구조에 관한 물음들
사회적 유대에 관한 초기 이론들
기능주의
의례에 대한 신(新)기능주의적 체계 분석들
구조주의
주술과 종교와 과학
연구 사례: 무칸다 성인식의 해석
결론

제3장 종교 상징의 구문(構文)과 응용: 의례의 문화적 의미와 해석에 관한 물음들
상징체계와 상징적 행동
언어 이론
수행 이론
실천 이론
연구 사례: 영국과 스와지 부족의 등극 의례에 대한 해석
결론

제Ⅱ부 의례들: 의례 행위의 스펙트럼

제4장 의례 행위의 기본 유형들
통과 의례
달력 의례
교환과 교제의 의례
재난 의례
향연과 단식과 축제
정치 의례
결론

제5장 유사 의례 행위의 특징
형식성
전통성
불변성
규칙 제어성
성례(聖禮)의 상징성
수행성
결론

제Ⅲ부 정황들: 의례적 삶의 구성

제6장 의례의 밀도(密度)
체계
유형론
정통 실천과 정통 교리
전통과 세속
구두와 문자
교회, 종파, 컬트
결론

제7장 의례의 변화
전통과 변형
의례의 창안
미디어와 메시지
결론

제8장 의례의 구상화(具象化)
의례의 거부, 의례로 회기하기, 의례의 낭만화
“의례”라는 개념의 출현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역자 후기

책 속으로

인간 행동의 한 범주로서의 “의례”라는 개념의 출현은 인간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어떤 단 하나의 결과이거나 필요불가결한 진보의 결과는 아니다. 말하자면 의례라는 개념은, 모든 의례 실행이 하나의 획일적이고 원형적이거나 보편적인 일련의 행동과 태도와 구조 혹은 기능으로 환원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른바 의례 실천에 대한 정의와 그 빈도와 의미는 문화적 지식으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사회문화적 정황과 조직의 문제이다.
- 머리말 중에서 

출판사 서평

저자 나름대로 기존의 이론과 의례 유형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여 줌으로써 의례를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안내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의례 교과서가 아니다. 저자가 평생 연구한 의례에 대한 자신의 이론과 관점을 여러 다른 이론들과 관점들과 더불어 체계화한 것이 바로 이 책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의례화(ritualization)와 실천이론(practice theory)이란 두 용어가 이 책을 관통하는 저자의 입장이라 할 수 있다. 의례는 획일적이고 원형적이며 보편적인 일련의 행위가 아니라 구체적인 정치-사회적, 문화적 정황 속에서 실행되면서 그 정황을 재생산하고 재형성하는 창조적인 실천 전략이라는 것이 저자의 입장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정황과 전략에 따라 지속적으로 의례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제Ⅲ부 정황들: 의례적 삶의 구성은 저자의 이러한 입장이 가장 잘 드러난 부분이다.
특히 저자는 중국과 한국, 일본, 동남아, 인도 등 동양의 종교와 의례를 심도 있게 연구하여 이 책에 반영함으로써 기존의 서구 중심적 의례 이해를 극복할 수 있었으며, 서구의 의례이론들과 의례라는 개념 자체에 서구적 시각에서 비서구 사회들을 바라보고자 하는 타자 인식이 있음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은 동양의 관점에서 서구의 의례들과 서구적 의례 이해를 조명할 수 있도록 우리에게 도전 의식을 부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결국 “우리가 공유하는 인간성을 조명하는 관행들”을 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