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메뉴

2014년 8월 25일 월요일

공공갈등관리의 이론과 기법(상, 하)


공공갈등관리의 이론과 기법(상, 하)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지음 | 논형 | 2005년 11월 20일 출간

목차

발간사 고철환
서문 박재묵, 박태순

서장. 공공갈등의 이해
? 박재묵
1. 문제 제기
2) 공공갈등의 개념과 특성
3) 우리나라 공공갈등 발생의 구조적 맥락
4) 공공갈등관리시스템의 의의
5) 맺음말

Ⅰ. 공공갈등과 갈등영향분석
? 신창현, 구도완, 박태순, 이재영, 정주진, 조승헌
1. 서론
1) 머리말
2. 갈등해결 이론과 갈등분석의 실제
1) 갈등의 개념
2) 갈등분석 이론
3) 갈등분석의 실제 : 면담과 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3. 갈등영향분석
1)갈등영향분석의 필요성과 목표
2) 갈등영향분석 제도
3) 갈등영향분석의 실제
4. 갈등영향분석 사례
1) 해외 사례

Ⅱ. 공공갈등과 참여적 의사결정
? 김유환, 강상규, 권영인, 김선희, 김은주, 박태순, 정익철
1. 참여적 의사결정의 의의
1)참여적 의사결정의 개념
2)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법률(안)?상의 참여적 의사결정의 특징
3) 참여민주주의 및 숙의민주주의와 참여적 의사결정
4) 합의 형성적 참여로서의 참여적 의사결정
2. 공공정책과 참여적 의사결정
1) 논의의 배경
2) 공공정책과정을 둘러싼 새로운 상황
3) 공공정책분석의 새로운 의미와 참여적 의사결정
4) 참여적 의사결정의 효과
3. 참여적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 분석
1) 참여적 의사결정 방법의 선택 시 고려사항
2) 참여적 의사결정 단계와 적용
4. 참여적 의사결정의 유형과 적용
1) 시민참여(Public Involvement)의 다양성
2) 시민참여 유형
3) 참여적 의사결정 방법의 적용
5. 참여적 의사결정의 설계
1) 참여적 의사결정 방법의 채택과 설계
2) 참여적 의사결정의 주재와 조정
6. 참여적 의사결정 사례
1)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사패산 구간 건설사례
2) 영월 댐건설 갈등사례
3) 울산북구청 음식물자원화시설 건립사례
7. 사례연습
1) 낙수강댐 건설사업

Ⅲ. 공공갈등과 의사소통
? 박태순 김희은 
1. 공공갈등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
1) 의사소통의 의미
2)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중요성 
3) 공공갈등에서의 의사소통
4) 다양한 종류의 의사소통 장애 
5) 의사소통 장애의 해결 
2. 한국의 소통문화
1) 일방통행뿐인 소통문화
2) 쌍방향의 소통문화 만들기
3) 차이와 다양성 존중하기
4) 소통을 저해하는 사고와 행동양식 
3. 의사소통기법 연습
1) 타인 및 타집단에 대한 민감성 훈련 
2) 소통의 시작은 언제나 아이스브레이킹
3) 칭찬하기는 소통의 기본 자산 
4) 내 몸이 말하고 있답니다 
5) 말로 하는 의사소통 
6) 입은 하나, 귀는 둘 잘 들읍시다 
7) 아는 길도 물어 간다?-질문하기 
8) 논쟁이 아니라 대화로 

Ⅳ. 공공갈등과 협상
? 박홍엽, 김병국, 서창수, 박진 
서론
1. 공공갈등과 협상
1) 갈등관리와 협상 
2) 협상에 대한 이해 
3) 공공갈등관리와 협상 
2. 협상의 기본 개념
1) 협상의 정의와 핵심 구성 요소의 도출 
2) 협상의 출발점 
3) 공공갈등에서의 바람직한 협상 
3. 협상구조의 이해
1) 협상의 기본 구조 
2) 공공갈등에서 발생하는 협상가의 딜레마와 그 극복방안 
3) 갈등의 진단 
4) 협상 태도의 이해 
5) 협상상황에 대한 기본 분석 
4. 성공적 협상과 협상과정의 이해
1) 성공적 협상의 의미 
2) 협상에 의한 문제해결 
3) 협상이란 파트너인 상대방과 함께 추는 춤이다 
4) 성공적 협상을 위한 협상 마인드를 가져라 
5) 협상과정의 이해 
5. 공공갈등 해소를 위한 성공요인과 협상전략
1) 공공갈등 협상의 성공요인 
2) 공공갈등 해소를 위한 협상전략 
6. 협상에 의한 공공갈등 해결 사례
1)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특별법 제정 과정 
2)「경유차환경위원회」합의문 

Ⅴ. 공공갈등과 조정
? 박수선, 김선혜, 김학묵, 박태순, 조영희 
1. 서론 
2. 대안적 문제해결(ADR)로서의 조정
1) 한국의 분쟁해결 제도 
2) 외국의 분쟁해결 제도 
3) 갈등해결을 위한 제3자 개입 사례 
3. 공공갈등과 조정
1) 공공갈등 해결에서 조정의 필요성 
2) 공공갈등 해결에서 조정 적용의 의미 및 한계 
3) 조정(Mediation)의 의미와 특성 
4. 조정자의 역할과 기술
1) 조정자의 역할 
2) 조정위원회의 구성 
3) 조정자의 자세와 기술 
5. 조정 단계
1) 준비 
2) 도입 
3) 입장 나누기 
4) 쟁점 규명 
5) 문제 해결 
6) 합의 
7) 공공갈등 해결을 위한 조정 사례 -한탄강댐 건설을 둘러싼 갈등 조정 

Ⅵ. 갈등관리와 공적해결 시스템
? 홍준형 
1. 공공갈등관리법의 제정 추진 
2. 공공갈등관리법안의 내용 
3. 결론 533 
부록.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법률안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