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메뉴

2014년 9월 14일 일요일

시민사회인류학의 가능성 / 시민사회와 문화


시민사회인류학의 가능성


http://www.hansung.ac.kr/web/mana/509641?p_p_id=EXT_BBS&p_p_lifecycle=0&p_p_state=normal&p_p_mode=view&p_p_col_id=column-1&p_p_col_count=1&_EXT_BBS_struts_action=%2Fext%2Fbbs%2Fview_message&_EXT_BBS_sCategory=&_EXT_BBS_sKeyType=&_EXT_BBS_sKeyword=&_EXT_BBS_curPage=1&_EXT_BBS_messageId=275759


1. 인류학과 시민사회 - 연구성과와 동향


    광의의 시민사회란 국가나 시장을 제외한 사회조직과 자발적 결사체, 혹은 개인과 국가를 매개하는 모든 사회를 지칭한다. 시민사회는 최근에 NGO나 시민사회운동 단체들과 동일시되기도 하지만 그것은 협의의 개념이다. 그러면 광의의  개념으로 볼 때, 시민사회란 인류학적으로 무엇을 지칭하는가? 전통적인 인류학의 연구 대상은 시민사회와 다른 어떤 것인가? 아니면 시민사회가 바로 전통적 인류학의 연구 대상과 동일한 것인가? 자본주의가 발아되지 않았거나 세계자본주의에 완전히 편입되지 못했던 과거의 전통사회 혹은 비서구사회에는 시민사회는 존재하지 않았는가? Ernst Gellner가 주장하듯이 아랍사회는 시민사회가 부재한 사회인가? 아프리카는 시민사회를 결핍한 사회인가? 남태평양의 쿨라제도나 화물숭배 의례집단은 시민사회와 어떻게 다른가? 우리나라의 동학이나 향약, 계나 두레와 같은 전통적 조직들은 시민사회가 아닌가? 동남아시아의 승가 sangha 조직과 같은 것은 시민사회와 다른 것인가? 또한 과거의 공산주의 국가들에서 시민사회는 존재하지 않았는가? 북한에는 시민사회가 없는가? 등의 계속되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Hann(1996)은 시민사회 개념이 극히 자민족중심주의적이고 모순적이기 때문에 인류학자들은 이 개념을 무시하여 왔다고 말한다. 그는 시민사회가 서구의 역사적 조건에서 하나의 이념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오늘날 다른 사회에 복사할 수 없는 비현실적 개념이라고 본다. Seligman(1992)에 의하면 시민사회 개념은 세 가지로 사용되고 있다. 첫때는 슬로건으로서의 시민사회 개념으로서 이는 국가에 대항하는 '마술'(Steven Sampson)과 같은 것이고, '빛나는 상징'(Ernst Gellner)과 같은 것이다. 둘째는 사회과학적으로 분석적이고 실증적인 용법으로서 경험적 연구에 의해 시민사회 개념이 밝혀질 수 있다는 입장인데, 이에 반해 Kumar와 같은 학자는 시민사회가 매력적인 용어처럼 보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외양만 그럴 듯한 무모한 개념이라고 말한다. 세 번째 용법은 바람직한 사회질서를 표현하는 규범적 개념으로서 '근대성의 자기 이미지'(Keith Tester)라고 시민사회의 규범성을 강조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Hann은 지금까지의 시민사회 논쟁이 지나치게 협의의 개념인 서구의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모델에 한정되어 왔다고 비판하고, 시민사회 연구는 다른 학문분과에서 간과해 온 광범한 비공식적인 대인관계와 관행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시민사회 논쟁은 근대성, 개인주의, 다원주의, 공사 영역의 경계등의 논쟁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으며, 여러가지 인류학적인 경험적 사례연구들을 통해 보편주의와 상대주의 사이에서 시민사회가 어떠한 의미로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한 정치인류학을 제시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인류학자들은 권력의 도덕적 측면과 현대사회의 결속과 사회질서를 연구하는데 기여할 여지가 많다고 본다. 사례연구로 편집한 논문들은 유타주 몰몬교에서의 돈과 도덕성, 시민사회 모델에 관한 사례, 전후 일본애서의 시민 만들기, 중국 농촌의 공동체적 가치와 국가, 시민사회의 관계, 요르단과 시리아 등 아랍사회의 시민사회, 폴란드에서의 시민사회의 의미 변화 등이다.

    지난 5-6년 동안에 인류학자들이 편집한 시민사회에 관한 책은 세 가지로 대표된다. Hann and Dunn(1996)은 시민사회 개념이 극히 자민족중심적이고 함정에 빠질 수 있는 개념이라고 주장하고 그람시를 비판하는 여러 논문들을 통해, 특히 구 동구권 사회에서 자아와 사회를 매개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제도들을 연구하고 있다. Comaroff(1999)의 책은 '시카고 바로크'로 불릴 만큼 화려하고 강렬한 문체인데, 이들은 시민사회 개념에 일관성과 특이성이 없다는 것은 시민사회 개념의 난잡성, 다의성과 변화무쌍한 상충성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Clayton(1996)은 시민사회가 민주사회를 위한 토대로서 정치학 이론사로부터 재발견된 개념임을 언급하고 있다.

    Hearn(2001)에 의하면 인류학자들은 시민사회 개념을 어떤 사회조직으로 명확하게 정의하기보다는 이 개념의 상징적이고 담론적인 측면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어떻게 생각하면 시민사회는 개인과 집단들이 국가 통제의 외부에서 사적이고 자발적으로 조직하는 사회생활의 모든 영역을 의미한다. 그러나 가족과 시장, 주체와 규범,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의 구분 등에 있어서 개념적 혼란이 있다. Hegel은 가족과 가구와 같은 가사부문은 시민사회에서 배제하였고, Gellner는 '왕과 사촌'의 전제정치에 저항하는 방식으로서 시민사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국가 뿐 아니라 친족의 지배를 막는데도 시민사회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한편, 헤겔과 맑스에게 시장은 시민사회에 가장 중요한(시민사회를 규정하는) 것인데 반해 Cohen과 Arato등은 국가-시장-시민사회의 삼분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시민사회는 국가와 시장으로부터 분화된 비계급적, 자발적 집단행동의 형태를 의미한다. 한편 주체의 문제에 있어서도 시민사회는 사적인 선과 공공선의 종합, 개인과 사회가 절실히 요구하는 것의 종합이라고 정의되고 사회질서의 이상을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가족과 친족이 사적인 영역인가의 문제가 있으며, Seligman과 같이 사적인 개인들이 공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시민사회라고 정의되기도 한다.
    이러한 시민사회 논쟁에서 인류학은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Hearn의 주장과 같이 "어떤 의미에서 인류학자들은 항상 '시민사회'를 전공하여 왔다". 전통적인 인류학의 현장연구 대상인 마을, 이웃, 빈민가, 농가들 뿐 아니라 인류학자들이 자주 연구하고 있는 교회, 가구, 조합, NGO, 선거운동집단, 병원, 공장, 가내공업, 시장 등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민사회와 불가분 연관되어 있으며, 인류학자들은 사회조직, 관료제, 정책과정, 사회운동 등의 연구를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시민사회 개념을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산지대 씨족집단과 같이 전시 형태의 사회조직도 국가밖에 있는 사회이기 때문에 인류학자에게는 국가와 시민사회의 이분법보다는 Schneider와 같이 국가-시민사회(법치영역)-무법사회로 구분하는 것도 타당하다. 
    그는 시민사회에서는 계급적 위계에서 중간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중간계급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인종, 종족, 종교, 성에 의해 사회적으로 차별받는 집단들이 법을 통해 국가로부터 시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민사회는 점차 이들 집단의 사회적 동원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스코틀랜드의 시민사회 사례는 시민사회가 국가에 대한 제도적 통로 역할을 통해 사회민주주의적인 케인즈적 공감대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한편, 시민사회는 아래로부터의 합법적 권력의 진정한 중심을 의미하기도 하며, 막강한 세계적 이해집단에 의해 주도된 이념적 의제를 의미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입장은 권력을 위와 아래의 양극단에서 파악하기 때문에 위계적으로 계층화된 복잡한 권력체계에서 중간계급의 중요성을 간과하기 쉽다. 라틴 아메리카와 같은 권위주의적 국가체계에서 시민사회는 국가와 중간계급에 대항하는 노동계급의 대중적 동원을 위해 활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시민사회 논의에서는 1960년대 이후 1989년에 이르기까지의 특정 세대집단과 신계급의 역할이 중요하다. 전문가, 테크노크라트, 경영자들로 구성된 신계급과 베트남 전쟁 이후 신세대의 부상은 시민사회에서의 지적자본과 문화자본의 중요성을 확산시켰으며, 신사회운동과 정체성의 정치가 대두되었다. 한편, 역사적으로 시민사회는 개혁과 시민성, 구원, 문명화과정 등과 같은 도덕적 비젼을 함축하며 '사회주의 사회의 도래'나 '민족을 깨우는' 의미를 지닌다. 마치 시민사회라는 종교와도 같으며 성스러움을 지니기도 한다. 시민성은 병든 사회를 치유하는 구원의 메시지를 지니고 시민사회는 구원자이다. 시민사회의 '시민화' 작업은 인류학에서의 오래된 고민인 문명과, 발전, 진보의 개념에 대한 논의를 다시 제기한다. 시민사회와 문명의 문제는 19세기의 억측적인 진화론을 되돌아보게 한다. 시민사회 개념에는 사적 소유권과 국가, 문명의 발전과정에 대한 영미의 진화론적 함의가 명백하기 때문이다.

    Doane(2001)의 사례연구는 멕시코 옥사카주, 치말라파스에서의 생태보전 시민사회 프로젝트를 둘러싸고 나타나는 국가, 국제원조기관, 지방 NGO 및 다양한 행위주체들간의 협력과 견제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하여 Doane은 담론적 수준에서 시민사회는 국가에 대항하는 민주화와 사유화의 이념을 나타내지만, 현실적 분석 수준에서는 국가와 시민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경쟁적으로 NGO 레토릭을 사용함으로써 국가-시민사회의 경계가 중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의 담론으로서 시민사회는 그 자체로서 지방을 옹호하는 낭만적인 프로젝트인 반면에 근대적 시민권의 개념이 파생되는 보편주의와 계몽적 비젼을 나타내기도 하는 역설을 함축한다. 흔히 시민사회는 특정 지방의 '민초'나 'NGO섹타'와 동일시되기도 하지만 지방에서의 프로젝트는 외부의 재원과 전문가들에 의해 규정되고 수호된다. 담론으로서의 시민사회 개념에는 보편적 권리와 지방의 토착적 정체성과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시민권간의 대립이 내재해 있다. '오랜 전통'이라고 생각되는 지방의 정체성은 각 지방 수준에서 매우 경쟁적이며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구성물로 간주되어야 한다.
    1990년대에 멕시코는 구조조정에 반대하여 좌파 운동가들은 시민사회를 국가에 대항하는 주민들을 옹호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시민사회는 권력을 드러내는 국가에 반대하는 주민들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민중' 이라는 말과 같이). 멕시코에서의 시민사회는 1968년 집권당 PRI의 통제에 대항하는 학생들의 조직화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이후로 집권당의 조직으로 통합되었던 학생, 노동자 조직은 정치적으로 자율적인 조직으로 분화되었으며, 1970년대의 오일파동과 1982년 외환위기 및 IMF 구조조정 이후 멕시코는 더 이상 사회적 프로그램을 지닌 법인국가 corporate state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바로 이 시점에서 신사회운동과 NGO 섹타들이  확산되었으며 국가의 공백을 채웠다. 멕시코의 고객주의 clientalism와 파벌 흡수정치 cooptation는 국가와 정당에 대한 불신을 심화시켰으며, 사회운동이 기존의 정당정치로부터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이 민주적 변혁의 필수조건이 되었다. 멕시코는 1992년 헌법 개정으로 농업개혁을 마무리하고 1994년부터 NAFTA 체계와 자유시장 정책이 수행되었다. 이 때 세계적으로 유명한 탈냉전 이후 최초의 혁명적 얼굴을 한 자파티스타 무장 게릴라 운동이 발발하였다. 자파티스타와 치말라파스는 공히 토지, 자율, 인권과 같은 이슈를 들고 나왔으며, 정글에서의 회의와 인터넷을 통한 국제연대, 시민사회 담론을 매개로 하고 있는 점에서 공통적이지만, 치말라파스는 무장하지 않았고 NGO에 의해 조직되었다는 점에서 자파티스타 운동과는 상이하다.
    이 논문에서는 1996년 10월에 열린 '치마팔라스 산림에 대한 지역공동체와 시민사회 포럼'(Foro) 행사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과 담론들을 분석함으로써, NGO 뿐 아니라 지방정부와 다른 행위주체들이 시민사회를 경쟁적으로 전유함으로써 합법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치말라파스 산림과 관련된 주요 주체들은 정부, 시민사회, 지역공동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데 무엇이 정부이고 시민사회이고 공동체인가? 그리고 무엇이 '심각한 생태적, 사회적 문제'인가에 대한 담론은 매우 중첩되어 나타나며 각 주체들은 합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다.
    치말라파스 산림 지역은 매우 낙후되어 빈곤하고 도로가 없고 식수나 전기와 같은 기본적인 사회서비스도 공급되고 있지 않은 지역이며 인근 지역으로부터 불법적으로 이주하여 온 외부인들은 벌채, 마리화나 재배, 목축 등을 일삼고 있어 산림파괴가 심각한 지역이다. 치말라파스의 가장 유력한 환경 NGO인 MPS는 캄페시노 생태보호지구 사업을 계획하고 WWF와 USAID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사업을 수행하고자 하며, 이들의 계획은 국립공원계획이나 생물환경보존지구 계획과는 상이하여, 치말라파스 산림을 주민들이 통제하고 관리하여 40여개의 마을이 하나의 공동 자산을 이루어 토지경계 분쟁과 토지이용 문제를 자율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운동이다. 반면에 지방정부는 여러 기관을 통해 이 지역을 플랜테이션 영농과 임업을 통해 개발하고자 하였다. 가난한 지역 주민들은 NGO와 연합하였으나 지방정부는 MPS의 생태보호 계획을 거부하고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고자 하였다. 주민들은 벌채권을 가질 수 없었고 일상적인 생계농업도 지속할 수 없게 되어 시민사회가 제시하는 대안과 자율, 생태의 비젼에 희망을 걸 수밖에 없었다.
   멕시코 연방정부의 환경관련 정부기관과 대학의 연구소 및 NGO들간에는 인적유대와 정보 교류 및 협력이 지속되었으며, 정부기관의 전문가들은 이전에 환경운동 연합의 회원으로 활동한 사람들이었다. 캄페시노 MPS 구성원들 조차도 이전에 정부 집권당이 지원하는 조직에 몸담았었다. MPS에 동정적이었던 치말라파스 지방정부는 1995년에 MPS 사업에 완전히 적대적인 간부들로 교체되었으며(지방 선거에서 집권당은 주민들에게 200페소씩 주고 표를 매수하였음), 결국 MPS는 치말라파스에서 축출되었고, 다시 돌아오면 교수형에 처한다고 위협할 정도가 되었다. 1996년부터 97년의 현장연구 동안에 MPS와 지방정부, 정부기관의 관계는 매우 악화되어 서로 섞이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었다. 일체 협상도 없었고 정부 관료들은 MPS를 '성인'인체 하는 사람들로 비아냥거렸으며 겉은 녹색인데 속은 빨갱이인 '수박'들이라고 비난하였다. 또한 그들은 치말라파스 문제를 팔아 국제원조자금을 타먹는 사람들이라고 했으며, 게릴라들과 연계한 극단적 편향주의자들이라고 했다.
    문제는 정부나 NGO 모두 지역 주민들로부터 합법성을 부여받아야 했기 때문에, 지역 공동체를 상상하고 창조하고 재현하는데 매우 적극적이었다는 점이다. 포럼 행사의 초청장에 나타난 문구들은 15개의 상이한 종족집단들의 이질적 정체성 보다는 공동의 지역정체성과 소속감을 강조하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자율과 토지환경의 공동 소유권이 강조한다. NGO들은 '정치는 더럽고 공동체는 깨끗하다'고 말하며 지역사회 공동의 도덕적 공동체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들은 지방정부 관료들이 책임지지 않으려 하고, 믿을 수 없으며 문명화되지 않은 무례한 성차별주의자들이라고 비난하였다. 정당은 모두 부패한 파벌주의자들이라고 했다. 반면에 지역의 주민들은 국가와 정부, 정당의 권력과 달리 여성, 어린이, 노인, 동물들의 이미지로 표현되며 천진난만한 사람들과 취약하고 낙후한 장소들의 연합으로 재현되었다.
    이러한 양극단에서 시민사회는 양자를 중개하는 브로커 역할을 한다. 탈정치의 자기의식을 지닌 NGO의 전문가 집단뿐 아니라 지방의 정치적 주체들도 시민사회에 스스로를 결부시키고, 어떤 '전통적인' 공동체 조직 양식에 근거한 미래의 자율적 이상을 시민사회를 통해 연관시키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포럼 행사의 초청장 문구와 한 일간지에 게재된 포럼에 대한 비난의 글을 병치시키고 있다. 행사 이틀전에 발표된 이 신문 기고문에서는 '사이비 생태주의자 pseudo ecologists', 분파주의자, 탐욕스러운 외부인들의 개입, 치마 Chima 사람들을 팔아먹는 자들과 같은 표현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지방정부 의회에서 공식적으로 이들 가짜 생태주의자들을 축출하기로 결정하였으며 포럼 행사도 사악한 것임을 주장하고 있다.
    포럼 행사에서 시민사회와 공동체의 담론은 더욱 극적으로 전개되었다. 포럼은 자파티스타의 이미지와 같이 산골 오지에서 임시 가옥를 짓고 개최되었다. 행사에서 MPS는 공개적으로 드러나지 않았고 캄페시노 주민들만이 회원 모자를 쓰고 발언하였다. 프로그램에서 발표자들은 지역 주민들의 과거와 현재의 투쟁, 조상들로부터 물려받은 토지에 대한 권리, '치마스'라는 지역 정체성으로 표현된 사람들에 관해 강조하였고 불법적인 외지인들의 개발행태와 살인 사건 등을 이야기하면서 여성화된 치말라파스와 남성 권력인 국가를 대비하였다. 그리고 NGOㅇ[ 대한 지역 주민의 환대를 거듭 강조함으로써 NGO 사업의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하기도 하였다. 또한 슬라이드 쇼를 통해 녹색, 황색, 붉은 색으로 확연히 구분된 이 지역의 생태환경을 보여주었고, 한 마리의 재규어가 암놈의 짝을 찾지 못해 멸종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생태학적, 생물학적 다양성을 지켜야 하는 강력한 메타포를 구사하였다. 이들은 산림 파괴의 원인이 결국 불법 개발업자와 외부인들의 벌채,  목축 때문이라고 규정하였고, 화전농법과 같은 전통적인 생계경제활동은 산림파괴와 무관하며 지역주민들의 환경에 대한 자율통치권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분과회의는 농업문제, 생태보전 문제, 자치, 자원의 소유와 관리, 인프라와 사회문제 등의 주제로 진행되었고이 지역의 빈곤과 정치적 무력감은 제국주의적인 정부와 외부의 개입 때문이라고 하였다. 글로발 문제를 지역정치에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행사가 끝나고 '노인과 어린이들의 행진'을 통해 캄페시노 생테계획의 시행을 주장하였고 록 컨서트를 열어 치말라파스 문제를 알리기도 하였다.
    이 행사는 군인들의 정찰활동과 정부의 언론을 통한 비난 등으로 기대한 만큼 성공적이지는 못했으며 WWF는 결국 MPS에 대한 자금지원을 중단하였다. 중단이유는 정부와의 협상이 어렵기 때문이었다. MPS는 NAFTA와 대지주, 목축업자, 빈곤과 불평등 문제를 제기하였지만, 정부로부터 아무것도 얻지 못했으며, 오히려 지방정부는 시민사회의 전유를 통해 지역정치에서 정당성을 확보하고 중재사무소를 설치하여 다양한 주체들간의 협상을 이끌어내는데 성공하였다. 주민들은 MPS에 이용당했다는 느낌을 갖고 있다고 정부 관료들은 주장하며, 다양한 주체들간의 협력과 조정을 통해 지역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합법적인 중립적 조직은 바로 지방정부라고 말한다. 1997년 말에 현장을 떠날 때는 치말라파스에는 생태지구도 없고, 더 이상 협상도 없었다. 

    Fisher(1996)는 NGO운동을 신사회운동(NSM)과 세계화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인류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실제로 NGO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밝혀줄 뿐 아니라 공동체의 개념, 지방과 초국적인 네트웤, 통제 기술, 지식인들의 정치적 역할 등에 관해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NGO를 하나의 유동적 조직으로 파악하면서 지방과 지역, 국가, 세계를 연계하는 지식과 정보들의 흐름이 NGO의 미시 정치와 현실을 규정한다고 설명한다. '특혜받은 어린이'로서의 NGO 이미지를 극복하고 국가 관료제와 헤게모니에 대항하는 운동으로서 NGO 연구를 위해 다지역 문화지와 같은 인류학적 연구방법론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Markowitz(2001)는 세계화로 인한 초국적 과정은 인류학이 이러한 변화를 주민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규명하고 상호연관된 체계를 분석할 수 있는 보다 혁신적이고 다지역적인 연구 전략을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그녀에게 NGO는 세계와 지방의 중개자이다. 그녀는 페루 NGO에서의 필드 경험을 토대로 현장연구 방법론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즉, 세계와 지방을 매개시키는 고리로서의 NGO에 관한 문화지 작성은 상층연구와 마찬가지로 전반적 문제의식(studying up and over)을 필요로 하며 프로젝트를 추적(following project)하는 방법론이 유효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Junghans(2001)는 헝가리에서의 시민사회 만들기 사례연구를 통해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이행 이후 시민사회 슬로간은 주민들이 스스로를 기업가 혹은 방해받지 않는 자유로운 행위주체로서의 자아를 강요하게 하였다고 분석한다.

    Orvis(2001)는 아프리카에서 지난 10여 년간 가장 특징적이었던 시민사회 논쟁을 다루면서, 아프리카의 시민사회는 보다 광의로 이해되어야 하고 현실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민주적이든 그렇지 않든 관계없이 집단적 행동과 규범들을 다루어야 하며 고객관계(patron-client) 네트웍, 종족조직, 전통적 권위체계 등이 포괄적으로 아프리카의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것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한다. 시민사회를 '국가와 가족으로부터 자율적인 공식적, 비공식적인 집단 행동으로 이루어진 공적 영역'으로 규정할 때, 아프리카의 '전통적' 영역은 시민사회에 포함시켜야 하는가, 그렇지 않은가가 논쟁의 핵심이다. 여기서 Orvis는 서구의 자유 민주주의 규범과는 다른 '도덕적 종족성'에 기초한 아프리카의 전통적 조직과 집단 행동들은 시민사회의 일부라고 설명한다. 시민사회는 일방적으로 민주화를 창출하는, 또는 내적으로 민주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국가의 권한을 잠재적으로 제한하는 자율적인 집단적 정치 활동을 통해 정치적 책임 요소와 정치참여 수단을 창출하는 것이다.
    Schneider(2001)은 이탈리아 시실리에서의 반마피아 운동에서 나타나는 '시민사회'의 의미와 담론을 분석하고 있다.  그는 시민사회 담론을 역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냉전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당시 사회운동에서 시민사회는 민주주의와 투명성, 인권을 요구하는 우산 역할을 하는 레토릭임을 설명한다. 또한 그는 시민사회가 공립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헤게모니로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Medeiros(2001)는 볼리비아에서의 시민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대중참여법'을 다루면서, 이 법이 안데스 농민과 인디언들을 민족국가에 통합시키는 헤게모니 과정으로서 이들 농민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 있다. 그는 대중참여법에 의한 '농촌시민사회' 구축은 지방 권력과 종족관계를 재정립하게 하였다고 분석하고 있다.
    Mindry(2001)은 남아공에서의 여성운동 NGO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초국적 NGO에 대한 제도적 문화지를 주창하고 있다. 남아공에서의 여성 NGO 연구는 역사적 격변기에 여성의 초국적 네트웍이 어떻게 조직화되는지를 보여주며, 민주국가가 새로운 성과 인종정치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Ong(1999)은 아시아의 경제위기와 문명의 충돌과 같은 담론분석을 통해 인류학이 21세기에 가장 첨예한 이슈가 되고 있는 문화적 차이의 해명, 지정학적 충돌과 글로발 문화현상에 대한 논쟁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시민권과 국가의 개인과 사회의 재생산문제를 인류학이 회피한다면 정치, 사회, 문화간의 내적 연관성을 결국 탐구할 수 없다고 설명한다. 나아가 인류학자들은 동서양의 문화차이를 넘어서 상이한 형태의 자유주의와 지구상에 존재한은 '대안적 근대성'을 찾는데 기여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Fox(1998)는 Oxfam, Grassroots International, ACCION International, Cultural Survival 등 4개의 국제개발민간기구(INGO)에 관한 현장연구 문화지를 출판하였다. 그녀는 행동주의 인류학(anthropology of activism)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문화지는 인류학자 자신의 정치적 실천이면서 문화비평이라고 규정한다. 특히 조직에 대한 문화지를 통해 '정보제공자'가 아닌 '협력자'로서의 현장과 원주민의 개념, 서구에 대한 인류학(anthropoloze the West)(Rabinow), 발전의 문화적 연구와 발전 전문가에 대한 인류학적 탐구, 조직 이데올로기, 대안적 발전과 담론으로서의 발전분석을 인류학자들이 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2. 국내에서의 시민사회 연구

    한국에서의 시민사회 연구에는 몇 가지 특성이 발견된다. 첫째는 시민사회에 대한 이념 논쟁과 현실분석의 괴리이다. 자유주의적 시민사회론과 사회주의적 시민사회론의 비판과 반비판과정을 통해 시민사회를 하나의 운동 지향적 이념으로 형성해나가고 있으나 정작 시민사회운동의 현실태에 관한 분석은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둘째는 시민사회 개념이 지니는 서구의 발전론적이고 진화론적인 함축이 거의 여과되지 않고 적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시민사회가 마치 문명전환적 이상주의를 대변하는 것과 같이 신비화되어 있다. 반면에 실재로 시민사회가 어떠한 양태로 존재하고 조직원리와 특성, 가치관과 신념체계가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파편적인 수준이다(연고주의, 지역주의, 파벌주의 등). 셋째는 지나치게 규범적인 논의로 치닫고 있다. 최근의 사회자본, 신뢰, 거버넌스, 파트너쉽, 성찰적 근대성과 성찰적 자본, 세계시민 등에 관한 논의들은 얼마나 시민사회 논쟁이 규범적이고 개념적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과연 그러한 지적 구성물들이 한국사회의 조직원리나 문화적 정체성과 특수성을 얼마나 올바로 해석해내고 실천적 의미를 부여해주는지에 대하여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3. '시민사회 인류학'의 가능성과 실천
  
    지난 한세기 동안 한국사회의 변화는 지구상에서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급격한 것이었다. 한말 왕조의 붕괴와 혼란, 서세동점의 시기에 서양과 서학을 통한 문화충격과 식민지, 독립, 전쟁, 냉전과 좌우 대립, 빈곤과 개발독재, 학생운동과 민중민주화운동, IMF와 구조조정, 세계화, 시민운동...등 역사적 격변은 혼란 그 자체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화변동과정을 한국의 인류학은 아직 이슈화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인류학은 한국사회의 격동과 주요한 사회문화적 이슈를 지나치거나 연구대상이 아니라고 외면하기까지 한다. 소위 제1세계 인류학의 수입과 번역 작업에도 아직 큰 성과를 보이지 못했지만, 제3세계의 문화론은 차치하고 한국사회에 대한 기본적인 문제의식도 인류학적인 담론으로 만들어 가고 있지 못하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 점에서 '시민사회 인류학'은 문제중심의 인류학, 이슈중심의 인류학, 한국사회와 문화에 대한 실천적 해석과 담론 형성의 인류학적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첫째, 시민사회인류학은 한국사회의 문제와 이슈중심의 실천적 인류학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인류학은 개발, 환경, 인권, 분쟁, 편견, 허위의식과 지배, 신화와 상징, 인종과 성, 세대와 지역차별, 문화자본, 공동체와 규범, 관용과 신뢰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경험적으로 접근하는데 가장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인류학은 개인주의를 넘어서 공동체적 연대라는 이상과 반국가, 반시장, 반서구 중심의 사상을 암묵적으로 실천하여 왔다고 볼 수 있으며, 이 점에서 인류학은 본질적으로 문화비평적인 학문이다. '문화비평으로서의 인류학의 귀환'(Marcus)이라고 적시하지 않더라도 인류학은 시민사회를 둘러싼 복잡한 문제와 이슈, 비젼과 규범, 슬로건과 현실사이에서 다른 학문분과에서 편향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제들에 관해 비교문화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문화를 처음부터 내세워 문화적 환원주의나 무모한 총체주의에 빠지지 않으면서, 다양한 현실적 주체들과 요소들이 작용과 반작용을 통해 역동적으로 만들어가는 현실 분석을 통해 문화를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시민사회 인류학은 한국사회와 문화에 대한 실천적 해석과 담론 형성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기존에 분리되어 연구되어 왔던 가족, 종족, 생계와 기술, 신념체계와 도덕, 지역정치가 '시민사회'를 통해 비로서 실천적이고 역사적인 의미를 부여받게 되고 통합적으로 위치지워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류학적 연구란 부분들에 대한 의미짓기 작업이며, 인류학은 이러한 부분들에 대한 의미부여 작업을 통해 '복합총체'를 보여주고 전체에서 의미지워진 부분들의 실천이 가능하도록 기여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인류학은 한국사회의 실천적이고 정책 함의적인 담론을 형성하고 발견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인류학은 학적, 현실정치적 담론 경쟁을 통한 권위의 확보뿐 아니라 대중적 지지기반의 확산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의 시민사회인류학은 그 동안 국내에서 연구되어 왔던 사회운동관점의 시민사회론, 규범적인 시민사회론, NGO 관리와 조직론 등이 한국정치의 '전통적'이고 비공식적인 부문의 중요성을 간과하여 왔던 점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시민사회를 시장과 법치, 민주주의의 발전이라는 서구의 자유주의적 보편주의 이상과 한국과 아시아 사회의 특수성이라는 상대주의의 양극단에서 인식하는 오류를 극복하고 현실적이고 다원적인 모델을 구축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http://www.hansung.ac.kr/web/mana/509641?p_p_id=EXT_BBS&p_p_lifecycle=0&p_p_state=normal&p_p_mode=view&p_p_col_id=column-1&p_p_col_count=1&_EXT_BBS_struts_action=%2Fext%2Fbbs%2Fview_message&_EXT_BBS_sCategory=&_EXT_BBS_sKeyType=&_EXT_BBS_sKeyword=&_EXT_BBS_curPage=1&_EXT_BBS_messageId=275760

시민사회와 문화

1. 시민사회란
  -어떤 것이 시민사회인가
   (노조/농협/빈민단체/교회/사찰/언론사/방송/의사회/변화사회/학교/조기축구회/동성애자회/부인회/상조회/계/..)
  -2분법론 : 국가와 시민사회의 대립
  -3분법론 : 국가-시장(경제토대)-시민사회 /정치사회-경제사회-문화사회
    
2. 시민사회의 구분
 -협의/광의
 -시민운동적 / 사회서비스적 시민사회
 -즉자적/대자적 시민사회
 -귀속적/ 성찰적 시민사회
 -선진국/동유럽/신흥공업국/제3세계

3. 시민사회의 특성과 문화
 -자유로운 개인
 -결사의 자유와 참여(자원적 결사체)
 -다양성과 관용
 -경쟁
 -의사소통과 수평적 관계
 -공공선/공공영역(public sphere)/공공재
 -행위자 중심이론(의미, 가치, 담론, 자율성 중시)
 -비영리성
 -감시와 견제기능 
 -지적, 도덕적, 문화적 헤게모니가 중요(동의의 정치)
3. 시민주체 형성과 시민문화(civic culture)
 -유교적 가부장제는 자발적 사회성을 결여하는가?
 -사회자본(social capital)과 상징자본/ 문화자본
 -사생활과 국가의 개입(침뱉기, 경범죄, 종교자유-파룬공, 군대거부..) : 싱카폴 사례
 -좋은 정치와 지배구조(good governance)
 -권력과 돈의 지배에서 탈피할 수 있는가?
 -도덕적 사회와 상상력이 풍부한 사회, 문화주체와 문화적 시민권
 -공공선과 참여민주주의
 -한국인의 일상문화(연고주의, 연줄, 준법정신, 질서의식, 토론문화..)
 -대안문화운동/비젼운동/이슈운동

4. 신세대 문화특성과 시민사회
 -탈가족화 현상
 -탈지역화/ 탈정치화/ 탈이념화 현상
 -문화산업 소비층
 -이동성과 동시성
 -세계시민교육과 다문화교육
 -다중정체성

5. 비교문화적 논쟁들
 -아프리카에는 시민사회가 없는가?
 -중국의 사대부적 공공영역(하버마스)과 시민사회
 -후쿠야마의 신뢰(trust)-수평적/수직적 신뢰 , 폐쇄적/개방적 신뢰
 -강한 국가, 약한 사회 - 약한 국가, 강한사회 - 강한국가, 강한사회
 -시민사회, 생활세계와 문화(영역인가 행위자인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