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메뉴

2014년 9월 14일 일요일

동남아의 초국가적 이슈와 지역 거버넌스, 한국동남아연구소


동남아의 초국가적 이슈와 지역 거버넌스 

한국동남아연구소 연구총서 5

김예겸 , 박번순, 박승우, 윤진표, 이동윤 지음 | 명인문화사 | 2010년 07월 15일 출간

목차

서문

제1장 동남아의 초국가적 이슈와 지역 거버넌스: 현황 및 평가
1. 서론
2. 동남아의 초국가적 이슈와 지역 거버넌스의 연구 의미
3. 동남아의 초국가적 이슈와 지역 거버넌스의 현황
4. 동남아 지역 거버넌스의 축으로서의 아세안
5. 동남아의 초국가적 이슈의 지역 거버넌스 평가
6. 동남아 지역 거버넌스의 향후 과제

제2장 동남아 빈곤해소를 위한 지역 거버넌스
1. 서론
2. 동남아에서의 빈곤의 실태
3. 빈곤에 대한 동남아의 지역적 거버넌스
4. 결론

제3장 동남아 테러방지 협력의 지역 거버넌스: 국제적 압력과 내부적 인식 사이에서
1. 서론
2. 이론적 논의: 테러방지의 지역 거버넌스
3. 동나아의 테러리즘 현황과 테러방지정책
4. 테러방지를 위한 동남아의 지역협력과 거버넌스
5. 결론

제4장 동남아 환경문제와 지역 거버넌스:
인도네시아 밀림화재와 연무(Smoke Haze) 문제를 중심으로 국제적 압력과 내부적 인식 사이에서
1. 서론
2. 선행 연구
3. 인도네시아 밀림/임야 화재 및 연무 현황
4. 연무문제의 인과적 요인
5. 연무 문제의 맥락적(Contextual) 상황
6. 연무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중재적 시도
7. 다양한 인식들의 갈등 상황
8. 결론

제5장 동남아 전염병과 지역 거버넌스: 조류인플루엔자를 중심으로
1. 서론
2. 조류인플루엔자의 동향: 세계 및 지역 현황
3. 동남아 지역 국가들의 대응전략과 한계점
4. 지역 거버넌스 차원의 대응전략과 방안
5. 결론

제6장 메콩강 수자원 개발에 관한 지역 거버넌스: 초국가적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1. 서론
2. 초국가적 수자원과 지역 거버넌스에 대한 기본논의
3. 메콩강의 초국가적 환경문제의 실태: 수력발전을 중심으로
4. 메콩강의 지역 거버넌스: '물의 정치'
5. 결론: 바람직한 지역 거버넌스를 위한 과제

제7장 동남아의 초국가적 노동이주와 지역 거버넌스: 현황과 모색
1. 글로벌리제이션, 동남아의 노동이주, 지역 거버넌스
2. 동남아 이주노동의 역사적 전개와 현황
3. 동남아시아 초국가적 노동이주의 주요 이슈
4. 동남아 노동이주에 관한 거버넌스의 현황
5. 동남아 노동이주에 관한 모범적 지역 거버넌스의 모색

제8장 반인신매매 정책담론과 로컬 사회: 인도네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1. 서론
2. 인신매매에 관한 선언적 정의와 사태의 복잡성
3. 인신매매 정책 담론: 문제 접근 시각을 중심으로
4. 글로벌의 문제정의와 로컬 현장: 인도네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5. 결론

찾아보기
저자약력

출판사 서평


이 책은 1997년 동아시아 경제위기를 계기로 동남아 차원의 지역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역내에서 부각된 7개의 초국가적 이슈인 테러리즘, 빈곤, 연무, 인신매매, 전염병, 수자원개발, 이주노동 문제에 대한 현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동남아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초국가적 이슈에 대하여 해당 동남아 전문가들이 과거와 현재 상황에 대한 설명과 각 이슈의 해결을 위한 동남아 지역차원의 협상 및 협력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초국가적 이슈의 해결 방안에 대하여 거버넌스라는 개념으로 분석하고 있는데, 문제의 본질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연구되었던 글로벌 거버넌스나 국가 거버넌스 중심의 연구가 아닌 국가와 시민사회가 함께 협력하는 지역 거버넌스로 분석하며 차별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 다루는 동남아의 초국가적 이슈들은 궁극적으로 인간을 위한, 사회를 위한, 환경을 위한 동남아의 새로운 지역 거버넌스를 찾아나가는 노력과 방향을 같이하고 있다.
그동안 획기적으로 발전한 한국과 동남아의 관계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더욱 긴밀한 지역협력을 필요로 한다. 동남아 지역의 초국가적 이슈는 한국도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할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과제이다. 이 책은 이러한 현실적인 필요성에 바탕을 두고 실증적인 분석과 실용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동남아에 관심을 갖고 있는 독자들에게 동남아 지역의 초국가적 이슈와 지역 거버넌스에 대한 현장감 있는 분석과 함께 우리의 정책방안까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