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학 이론
책소개
사회학 전공자를 위한 입문서. 사회학의 주요 발전과 현시대의 주요 이론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소개했다. 특히 최신의 사회학이론의 발전과 변화, 그리고 주요 이론적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수록하여 고전적 사회학의 이론적 주제들을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사회학의 현대적 주제들을 총체적으로 기술했다. 현재 저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 분규의 사회학과 교수.
목차
1.사회 학이론 ...31
제1부 기능주의적 이론화
2.기능주의적 이론화의 출현 ...39
3.로버트 머틴의 경험적 접근 ...53
4.탈코트 파슨스의 분석적 접근 ...61
5.제프리 알렉산더의 신기능주의 ...77
6.니클라스 루만의 체계 기능주의 ...97
제2부 진화론적 이론화
7.진화론적이론화의 대두 ...119
8.생태학적 이론화와 생물학적 이론화 ...127
9.생태학적이론들 ...143
10.신진화이론들 ...169
제3부 갈등이론화
11.갈등이론의 출현 ...207
12.랄프 다렌도르프의 변증법적 이론 ...219
13.루이스 코저의 갈등기능주의 ...227
14.조나단 터너의 종합적 갈등이론 ...235
15.신베버주의 이론들 : 랜달 콜린스의 분석적 접근 ...243
16.역사 비교사회학에서의 갈등이론 ...255
17.신막스주의 이론 ...277
18.젠더 불평등과 계층화 이론 ...299
제4부 교환 이론화
19.교환이론의 등장 ...319
20.조지 호만스의 행동주의적 접근법 ...335
21.피터 블라우의 변증법적 접근법 ...345
22.리처드 에머슨의 교환 네트워크 접근 ...359
23.교환이론의 경제적 모델과 게임이론 모델의 소개 ...369
24.합리적 선택이론 ...383
25.교환 네트워크의 이론화 ...399
제5부 상화작용론의 이론화
26. 상호작용론과 현상학적 이론화의 등장 ...431
27.상징적 상호작용의 성문화 ...451
28.자아와 정체성 이론 ...469
29.역할이론 : 랄프 터너의 종합적 접근 ...479
30.어빙 고프만의 연극적 접근 ...489
31.민속방법론의 도전 ...513
32.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감정이론 ...529
33.기대상태이론 ...561
제6부 구조주의적 이론화
34.구조주의 이론화의 등장 ...579
35.프랑스, 영국, 미국의 구조적 이론화의 변이 ...589
36.기든스의 구조화 이론 ...603
37.문화이론 ...617
38.네트워크 분석 ...637
39.피터 블라우의 거시구조이론 ...649
제7부 비판이론화
40.현대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의 등장 ...665
41.프랑크푸르트학파와 문화적 전환 ...673
42.워르겐 하버마스의 프랑크푸르트 학파 프로젝트 ...683
43.사회학이론의 페미니스트 비판 : 젠더, 정치, 그리고 가부장제 ...701
44.포스트모더니즘 이론 ...729
찾아보기 ...753
제1부 기능주의적 이론화
2.기능주의적 이론화의 출현 ...39
3.로버트 머틴의 경험적 접근 ...53
4.탈코트 파슨스의 분석적 접근 ...61
5.제프리 알렉산더의 신기능주의 ...77
6.니클라스 루만의 체계 기능주의 ...97
제2부 진화론적 이론화
7.진화론적이론화의 대두 ...119
8.생태학적 이론화와 생물학적 이론화 ...127
9.생태학적이론들 ...143
10.신진화이론들 ...169
제3부 갈등이론화
11.갈등이론의 출현 ...207
12.랄프 다렌도르프의 변증법적 이론 ...219
13.루이스 코저의 갈등기능주의 ...227
14.조나단 터너의 종합적 갈등이론 ...235
15.신베버주의 이론들 : 랜달 콜린스의 분석적 접근 ...243
16.역사 비교사회학에서의 갈등이론 ...255
17.신막스주의 이론 ...277
18.젠더 불평등과 계층화 이론 ...299
제4부 교환 이론화
19.교환이론의 등장 ...319
20.조지 호만스의 행동주의적 접근법 ...335
21.피터 블라우의 변증법적 접근법 ...345
22.리처드 에머슨의 교환 네트워크 접근 ...359
23.교환이론의 경제적 모델과 게임이론 모델의 소개 ...369
24.합리적 선택이론 ...383
25.교환 네트워크의 이론화 ...399
제5부 상화작용론의 이론화
26. 상호작용론과 현상학적 이론화의 등장 ...431
27.상징적 상호작용의 성문화 ...451
28.자아와 정체성 이론 ...469
29.역할이론 : 랄프 터너의 종합적 접근 ...479
30.어빙 고프만의 연극적 접근 ...489
31.민속방법론의 도전 ...513
32.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감정이론 ...529
33.기대상태이론 ...561
제6부 구조주의적 이론화
34.구조주의 이론화의 등장 ...579
35.프랑스, 영국, 미국의 구조적 이론화의 변이 ...589
36.기든스의 구조화 이론 ...603
37.문화이론 ...617
38.네트워크 분석 ...637
39.피터 블라우의 거시구조이론 ...649
제7부 비판이론화
40.현대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의 등장 ...665
41.프랑크푸르트학파와 문화적 전환 ...673
42.워르겐 하버마스의 프랑크푸르트 학파 프로젝트 ...683
43.사회학이론의 페미니스트 비판 : 젠더, 정치, 그리고 가부장제 ...701
44.포스트모더니즘 이론 ...729
찾아보기 ...753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