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
중국식 ‘사회주의적 민주’를 조감하며
이 책에서 소개된 학자들과 견해는 대부분 중국내에서 활동하거나 중국내부의 논의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민주주의에 대한 담론 논의에 참여하는 학자들을 넓게 포괄하고자 노력했으나, 중국내의 논의는 명확한 갈래로 구분하기 쉽지 않고 다른 주장에 대한 반론이 적다는 점에서 명료한 주장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중국 민주주의의 넓은 이념적 스펙트럼을 큰 틀에서 반영하고자했다.
대체적으로 중국당정의 입장과 궤를 같이하고 있는 ‘중국식 민주론’을 중심으로 좀 더 인민민주주의적 관점에서 사회주의 내의 민주(democracy in socialism)를 주장하는 견해, 새로운 길이나 제3의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견해, 민주주의 논의에 국가 역할을 강조하는 견해 그리고 좀 더 자유주의적 지평을 열고자 하는 견해로 구분해서 정리했다.
이 책에서 소개된 학자들과 견해는 대부분 중국내에서 활동하거나 중국내부의 논의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민주주의에 대한 담론 논의에 참여하는 학자들을 넓게 포괄하고자 노력했으나, 중국내의 논의는 명확한 갈래로 구분하기 쉽지 않고 다른 주장에 대한 반론이 적다는 점에서 명료한 주장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중국 민주주의의 넓은 이념적 스펙트럼을 큰 틀에서 반영하고자했다.
대체적으로 중국당정의 입장과 궤를 같이하고 있는 ‘중국식 민주론’을 중심으로 좀 더 인민민주주의적 관점에서 사회주의 내의 민주(democracy in socialism)를 주장하는 견해, 새로운 길이나 제3의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견해, 민주주의 논의에 국가 역할을 강조하는 견해 그리고 좀 더 자유주의적 지평을 열고자 하는 견해로 구분해서 정리했다.
책을 펴내면서
1부 | 사회주의에서의 민주주의를 고민하다
ㆍ가오팡(高放)의 ‘사회주의다당제론’
ㆍ왕구이슈(王貴秀)의 ‘사회주의 삼권분립론’
ㆍ팡닝(房寧)의 ‘민족주의적 사회주의민주론
2부 | 제3의 민주를 모색하다
ㆍ시에타오(謝韜)의 ‘민주사회주의론’
ㆍ딩쉐량(丁學良)의 ‘중국모델과 사회민주주의’
ㆍ추이즈위안(崔之元)의 ‘자유사회주의론’
ㆍ장무성(張木生)의 ‘신민주주의 회귀론’
3부 | 중국식 민주를 새롭게 해석하다
ㆍ위커핑(兪可平)의 ‘점진개혁식 민주론’
ㆍ왕샤오광의 ‘인민민주론’
ㆍ허바오강(何包鋼)의 ‘협상민주론’
4부 | ‘국가’를 통해 중국식 민주를 말하다
ㆍ정융녠(鄭永年)의 ‘국가건설론’
ㆍ캉샤오광(康曉光)의 ‘협력주의 국가론’
ㆍ판웨이(潘維)의 ‘자문형 법치국가론’
5부 | 중국 자유주의자들, 민주의 지평을 넓히다
ㆍ류쥔닝(劉軍寧)의 ‘자유주의론’
ㆍ차오쓰위안(曹思源)의 ‘민주사회주의론’
ㆍ친후이(秦暉)의 ‘자치민주(自治民主)론’
ㆍ류샤오보(劉曉波)의 ‘자유민주주의론’
ㆍ 찾아보기
1부 | 사회주의에서의 민주주의를 고민하다
ㆍ가오팡(高放)의 ‘사회주의다당제론’
ㆍ왕구이슈(王貴秀)의 ‘사회주의 삼권분립론’
ㆍ팡닝(房寧)의 ‘민족주의적 사회주의민주론
2부 | 제3의 민주를 모색하다
ㆍ시에타오(謝韜)의 ‘민주사회주의론’
ㆍ딩쉐량(丁學良)의 ‘중국모델과 사회민주주의’
ㆍ추이즈위안(崔之元)의 ‘자유사회주의론’
ㆍ장무성(張木生)의 ‘신민주주의 회귀론’
3부 | 중국식 민주를 새롭게 해석하다
ㆍ위커핑(兪可平)의 ‘점진개혁식 민주론’
ㆍ왕샤오광의 ‘인민민주론’
ㆍ허바오강(何包鋼)의 ‘협상민주론’
4부 | ‘국가’를 통해 중국식 민주를 말하다
ㆍ정융녠(鄭永年)의 ‘국가건설론’
ㆍ캉샤오광(康曉光)의 ‘협력주의 국가론’
ㆍ판웨이(潘維)의 ‘자문형 법치국가론’
5부 | 중국 자유주의자들, 민주의 지평을 넓히다
ㆍ류쥔닝(劉軍寧)의 ‘자유주의론’
ㆍ차오쓰위안(曹思源)의 ‘민주사회주의론’
ㆍ친후이(秦暉)의 ‘자치민주(自治民主)론’
ㆍ류샤오보(劉曉波)의 ‘자유민주주의론’
ㆍ 찾아보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